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정보

사회초년생 재테크 비법 보험관련 노하우

자동차를 사면 필연적으로 자동차 보험에 대해

알아보곤 하죠. 사회생활을 시작하면 마찬가지로

보험에 대해 알아보게 됩니다. 이때 보험에

대한 사전지식이 없이 그저 주위의 권유로 보험을

가입하게 되면 나중에 뜻하지 않은 손실이

 생기기도 합니다.그 손실이 크던 작던 말입니다. 

그래서 보험을 잘 가입하는것도 

하나의 훌륭한 재테크라고 할수가 있죠

그래서 보험을 가입하기전에 알아두면

좋은 보험과 관련된 노하우들에 대해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져볼까 합니다.


1.소득대비 적정 보험료 수준

보험은 크게 두가지로 나뉘는데요.

보장성험과 저축성보험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보장성보험은

다들 아시다시피, 만일에 생길

문제들에 대비하는 의미로 본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예기치않게 발생하는

여러 일들, 이를테면 사고를 당한다거나

뜻밖의 병이 걸린다거나 하는 경우를

대비하는 상품입니다. 이 보장성보험

의 경우로 말씀드리자면 적정보험료

수준은 대체로 월 소득의 최대 10%

정도에서 10%미만으로 잡는게

가장 좋다고 합니다.

그럼 저축성보험은? 저축성보험은

장기적인 안목으로 길게 투자를

하는 보험입니다. 10년이상 유지했을때

비과세혜택을 받기 때문입니다.

금리와 관련되서도, 복리적용이

많은지라 더더욱 장기투자에

특화된 상품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저축성보험의 경우 월 소득 15%정도로

시작해서, 비과세 조건이 채워졌을때

점점 불려나가는 방식이 좋습니다.

최대 한도는 본인의 자금상황에

맞게 책정하시면 됩니다.

2.구조적인 특성 파악

보험같은 경우 구조적인 특성을 파악하지

않고 가입을 하면 가끔 나중에 보상을

받을때,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유비무환이라고 미리

사전에 특성들을 잘 파악해 두시고

유의해서 가입을 하신다면, 사전에

문제가 생길수 있는 여지를 차단할수가 

있습니다. 예를들면 보장성보험의 

경우, 생명보험이나 손해보험회사에서

취급하는 보험의 종류가 다른 경우가

종종 있는데, 생명보험의 경우에는 종신,

정기,건강, 암보험 등 정액보험을 취급한다면

손해보험회사는 사고가 발생해서 생기는

손해의 ㅣㄹ비를 보상하는 실손실

보험을 중심으로한 보험을 취급합니다.

그러므로 생명보험을 가입할때 유의할

부분은 암이나 기타 병이 발병했을 경우

진단비,수술비,입원비 등의 항목이 특약으로

표기되어 있는지, 약관에 지급한다 혹은

보상한다라고 명시되어 있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고, 손해보험의 경우엔

매우 많은 특약들이 있는데(약 250여

종이나 됩니다) 다 포함하기 보단

자신에게 일어날 법한 일들을

선택하고, 불필요해 보이는

특약들은 제외할수가 있습니다. 그럼

선택항목을 보실때도, 지급한다 혹은

지급하지 아니한다. 등의 명시된 부분을

잘 살펴보셔야 나중에 일이 생겼을때

지급되지 않는 불상사를 미연에 방지할수가

있습니다. 

이정도가 보험과 관련된 가벼운 재테크 비법입니다.

그다지 어려운것들이 아니지만, 가끔 별로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서 뜻하지 않는 손실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요즘 재테크의 개념이 바뀌고 있는데, 요즘 재테크는

돈을 불리는 의미가 아니라, 돈을 지키는 의미라고 합니다.

최대한 손실을 줄이고, 쓸대없는 지출을 줄이는게

최고의 재테크화가 되어가고 있는셈이죠.

뭐 그만큼 경제상황이 안좋기 때문이지만요.

그러므로 보험 관련해서도 잘 숙지하시고

가입하시길 권장합니다.